본문 바로가기

파이썬

(12)
자료형(Data Type) (4) - 세트(집합), 딕셔너리 1. 세트■ 세트(set)와 리스트(또는 튜플)의 주요 차이점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세트 내 요소는 두 번 나타날 수 없다. 즉,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세트는 고유한 값들을 저장하는 자료구조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세트 내 요소는 순서를 가지고 있지 않다. 리스트나 튜플과는 다르게 순서가 없으므로 인덱싱이나 슬라이싱이 불가능하고, sort()나 reverse() 같은 리스트 메서드는 세트에서 무의미하다.cf) 딕셔너리도 순서가 없는 자료형이라서 인덱싱, 슬라이싱을 지원하지 않는다. cf) 그러므로, 순서가 없는 자료형에 저장된 값을 인덱싱으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리스트나 튜플로 변환해야 한다. 1.1 세트를 만드는 방법■ 파이썬에서 세트를 생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를 이용하..
자료형(Data Type) (3) - 튜플, 불(bool) 1. 자료구조(data structure)■ 파이썬에서 자료(data)들을 저장하는 여러 가지 구조들이 있으며, 이를 자료구조 또는 데이터구조라고 부른다.■ 파이썬의 가장 기초적인 자료구조는 시퀀스(sequence)이다. 파이썬은 6개의 내장 시퀀스 str, bytes, bytearray, list, tuple, range를 가지고 있다.■ 시퀀스는 요소(element)로 구성되며, 요소 간에는 '순서'가 존재한다. 각 요소는 인덱스(index)라는 고유한 번호를 부여받기 때문에 인덱스를 통해 요소에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시퀀스에 속하는 자료구조들은 동일한 연산을 지원한다. 인덱싱(indexing), 슬라이싱(slicing), 덧셈 연산, 곱셈 연산 등이 이에 해당한다. ■ 또한, 파이썬의 내장 함..
자료형(Data Type) (2) - 리스트 1. 리스트■ 여러 개의 값을 저장하고 처리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값들 사이에 순서가 있을 경우 리스트를 사용하는 것이 유용하다.■ 리스트는 항목(item)들을 저장하는 일종의 컨테이너로, 항목들은 순서를 가진 채 저장되며 콤마(,)로 구분된다.- 리스트 안에 저장된 데이터를 항목(item) 또는 요소(element)라고 한다. ■ 리스트는 항목이 추가되면 자동으로 크기가 늘어나고, 항목이 제거되면 자동으로 크기가 줄어든다. 또한, 리스트에는 어떠한 자료형도 항목(원소)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모든 항목이 동일한 자료형일 필요도 없다.1.1 리스트를 만드는 방법■ 파이썬에서 리스트는 대괄호 []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 예를 들어, 10일 동안의 기온을 저장한다고 했을 때, 10개의 변수를..
자료형(Data Type) (1) - 숫자, 문자열 1. 숫자형■ 데이터의 종류를 자료형(data type)이라고 한다. 파이썬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자료형들이 제공된다.■ 시퀀스 자료형은 각 요소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자료형으로, 데이터에 순서를 붙여 나열한 자료형이다. 순서가 유지되고 정수로 인덱싱하며, 길이가 있다.■ 숫자형이란 숫자 형태로 이루어진 자료형으로, 소수점 없이 표현되는 정수와 소수점을 동반하는 실수 그리고 진수가 있다.1.1 정수형, 실수형■ 정수형(integer)은 '양의 정수', '음의 정수', '숫자 0'으로 분류할 수 있다.a = 123 # 양의 정수a = -123 # 음의 정수a = 0 # 숫자 0■ 실수형(floating-point)은 다음과 같이 소수점으로 표현할 수도 있고, 지수 표현 방식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a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