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56)
내장 함수, 정렬과 탐색, 람다식 1. 내장(built-in) 함수■ 파이썬에는 모듈처럼 import를 사용하지 않고도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는 내장 함수가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객체에 대해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print, type, del, abs 등이 바로 내장 함수이다.■ 아래의 내용은 활용 빈도가 높은 내장 함수들에 대한 정리이다.1.1 abs() ■ abs(x)는 어떤 숫자를 받아, 해당 숫자의 절댓값을 리턴하는 데 사용된다. ■ 정수 및 부동 소수점 수를 포함하여 모든 수에 적용 가능하다. 복소수의 경우 복소수의 크기를 반환한다.x = 10abs(x)```#결과#```10````````````abs(-x)```#결과#```10````````````x = 3 + 2jtype(x)```#결과#```complex````````..
리스트(list) 1. 리스트■ 리스트(=선형 리스트(linear list))는 순서 또는 위치(position)를 가진 항목들이 차례대로 나열된 선형 자료구조이다. ■ 리스트를 기호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list = [item0, item1, item2, ... , item(n-1)] ■ 항목간 중복을 허용하지 않고 순서가 없는 집합(set), 값의 변경이 불가능한 튜플과는 다르게 리스트는 이러한 제한이 없다. ■ 리스트 구조는 다음 그림과 같이 항목들이 순서대로 나열되며 인덱스라는 위치를 가진다.■ 리스트처럼 선형 자료구조인 스텍, 큐, 덱은 항목에 대한 접근이 전단 혹은 후단으로 제한되지만, 리스트는 이런 제한이 없어서 어떤 위치에서든 항목의 삽입 혹은 삭제가 가능하다. 즉, 리스트는 선형 자료구조 중 항목의 삽입..
함수 1. 함수■ 입력값이 들어오면, 어떤 처리 단계를 거쳐 그 결과를 반환하는 것이 바로 함수가 하는 일이다. ■ 예를 들어, \( y = 2x + 3 \)는 입력 \( x \)에 따라 출력 \( y \) 값이 변하는 함수이다. 파이썬의 print(), abs() 와 같은 함수들도 입력값을 받아 결과를 출력하는 함수의 대표적인 예이다.- '-10'을 print()의 입력으로 넣으면 -10을 출력한다. -10을 abs()의 입력으로 넣으면 절댓값 10을 반환한다.1.1 함수의 필요성■ 함수를 사용하면 동일한 내용을 반복하는 처리 단계를 하나로 묶어, 필요할 때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의 묶음이라고 볼 수 있다. 이는 코드를 재활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색을 ..
신경망 (2) ■ ML의 문제 해결 과정은 학습과 추론 단계로 나뉜다. 학습 단계에서는 말 그대로 train set으로 모델에 대한 학습을 진행하고, 추론 단계에서는 최종 선택한 학습한 모델로 unseen data에 대해 추론, 즉 분류 문제이면 분류, 회귀 문제이면 회귀를 수행한다. ■ 신경망도 ML과 마찬가지로 이 두 단계를 거쳐 문제를 해결해 나간다. 차이점은 신경망에선 train set으로 매개변수를 학습하고, 추론 단계에서 학습한 매개변수를 사용해 입력 데이터를 예측한다. ■ 이번에는 케라스의 MNIST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추론 단계의 과정만 진행해 본다.■ 먼저 다음과 같이 keras에서 MNIST 데이터셋을 불러온다.import tensorflow as tfmnist = tf.keras.datasets...
확률변수와 확률분포 1. 확률변수(random variable)■ 확률 변수는 '확률 실험의 각 결과인 표본공간의 각 원소를 실수 값으로 바꾸는 함수'이다. 즉, 표본공간 S에서 실수 공간 \( \mathbb{R} \)으로의 함수이다.■ 하나의 확률실험에 대해 여러 개의 확률변수를 정의할 수 있으며, 원소의 개수에 비례하는 확률분포를 갖는다.■ 확률변수는 보통 알파벳 대문자 (\( X, Y, Z \))로 표기한다.■ 예를 들어 동전을 두 번 던져 앞면(H)와 뒷면(T)을 관측하는 실험에서의 표본공간 S = {(H, H), (H, T), (T, H), (T, T)}로 4개의 원소를 갖는다. - 내가 관심 있는 경우가 뒷면이 나오는 횟수라면, 나올 수 있는 경우의 수는 0, 1, 2 중 하나가 된다.- 즉, 확률변수 \( X ..
파이썬 1. 변수(variable)■ 변수는 데이터(자료)를 담는 공간이다.■ 어떤 값을 변수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것은 간단하지만, 변수의 동작 원리는 약간 복잡하다.■ 먼저 리터럴(literal)이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 리터럴은 예를 들어 1, 1.2, "apple"같이 그 자체로 의미하는 것을 말하는데, 변수와 달리 데이터가 저장된 공간을 가리키는 이름을 가지지 않는다.■ 1같이 아라비아 숫자로 표현되는 것을 정수형 리터럴, 1.2는 실수형 리터럴, "apple"은 문자열 리터럴이라 한다. 즉, 리터럴은 그 형태에 따라 자료형이 결정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num = 10, name = "apple"이 있다면 num = 10은 변수 num이 만들어지고 변수 num이 리터럴 10에 의해 만들어진 정수..
파일 읽고 쓰기 1. 파일 ■ 파일(file)은 보조 기억장치에서 문서, 소리, 그림, 동영상같은 자료를 모아놓은 것을 말한다.■ 파일 안에는 바이트들이 순차적으로 저장되어 있고, 맨 끝에는 EOF(end-of-file) 마커가 있다. ■ 모든 파일은 위의 예시처럼 입출력 동작이 발생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파일 포인터를 가지고 있다. ■ 파일을 열면, 파일 포인터는 파일의 첫 번째 바이트를 가리킨다. 그리고 파일의 내용을 읽거나 쓰면, 파일 포인터는 자동으로 업데이트된다. 2. 파일 열고 닫기2.1 open()과 close()■ 파일을 사용하려면 먼저 open( ) 함수로 파일을 열어야 한다.■ open( ) 함수는 파일 이름과 파일 모드를 받아서 파일 객체를 생성한 후에 파일 객체를 반환한다. ■ 파일이 열리면 해당 파..
제어문(control statement) (2) - 반복문 for, while ■ 반복문은 코드 블록을 반복 실행할 수 있는 제어문이다. 파이썬에는 2가지 종류의 반복문이 있는데, 바로 for과 while 반복문이다. ■ for 문은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하는 횟수 반복문이라고 할 수 있으며, while 문은 특정한 조건이 성립되는 동안 반복하는 조건 반복문이라고 할 수 있다. 1. while 반복문 - 조건 반복문■ 조건 반복문인 while 문은 특정한 조건이 만족되는 동안 계속 루프가 계속 실행된다. 1.1 while 문의 기본 구조■ while 문의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다.while 조건식: 실행할_문장_1 실행할_문장_2 ....■ while 문은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기까지 위와 같이 들여쓰기한 명령문 블록을 반복 실행한다. ■ while 문 기본 구조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