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MathJax]/jax/element/mml/optable/MathOperators.js
본문 바로가기

확률

확률

0. 경우의 수, 순열, 조합, 이항정리, 다항 계수

경우의 수

- 곱의 법칙

어떤 사건이 동시에 일어날 때 각 경우의 수를 곱한다.

예를 들어, 주사위 1개를 던졌을 때, 나올 수 있는 경우의 수는 6이고 동전 1개를 던졌을 때 나올 수 있는 경우의 수는 2이다.

동시에 주사위와 동전을 던진다면, 나올 수 있는 경우의 수는 6×2=12

- 합의 법칙

① 동시에 일어날 수 없고 ② 빠짐없이 분류한 다음, 각각의 경우의 수를 더한다.

예를 들어 서울에서 부산까지 갈 수 있는 경우의 수가 다음 그림과 같을 때,

이를 분류하면

- (1) '서   부'의 경우의 수는 곱의 법칙에 의해 2×2

- (2) '서   부'의 경우의 수는 곱의 법칙에 의해 3×2

- (3) '서   전  부'의 경우의 수는 곱의 법칙에 의해 3×2×2

- (4) '서   대  부'의 경우의 수는 곱의 법칙에 의해 3×2×2 

- 그러므로 서울에서 부산까지 갈 수 있는 경우의 수는 2×2+3×2+3×2×2+3×2×2 

 

순열(permutation)

- 팩토리얼

n개의 객체가 있을 때, 서로 다른(순서를 고려한) n개를 배열할 때, 가능한 경우의 수는 n!

n(n1)(n2)321=n!

예를 들어 a,b,c라는 문자 3개를 나열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는 3!

- 순열

n개의 객체가 있을 때, 서로 다른(순서를 고려한) n개 중에 r개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는  nPr=n!(nr)!,(nr)

예를 들어, 7명 중 3명을 뽑아서 줄을 세우는 방법의 수는?

순서를 고려하므로 예를 들어 '철수 - 영희 - 민석'과 '철수 - 민석 - 영희'는 다른 경우로 취급한다. 

3명을 뽑아 줄을 세우므로, 첫 번째 자리에 올 수 있는 경우의 수는 7, 두 번째 자리에 올 수 있는 경우의 수는 앞에서 1명이 빠졌으니 6, 세 번째 자리에 올 수 있는 경우의 수는 앞에서 2명이 빠졌으므로 5이다.

그러므로 7×6×5=210가지이다. 7!(73)!=7!4!=7×6×5

n개의 객체가 있을 때, n이 그룹 n1,n2,,nk로 구성되어 있으며, n=n1+n2++nk라면(= n개 중에서 같은 것이 각각 n1개, n2개, ,, nk개 있을 때), n개를 일렬로 나열하는 순열의 수는 n!n1!n2!nk!이다. 

예를 들어 총 10명이 있는데, 그 중에서 신입생은 1명, 2학년은 2명, 3학년은 4명, 4학년은 3명이라면, 학년 순서를 구별하지 않고 줄을 세우는 방법의 수는 10!1!2!4!3!

-10명의 사람을 나열하는 방법은 10!이다.

- 1학년은 1명이므로 1!, 2학년은 2명이므로 2!, 3학년은 4명이므로 4!, 4학년은 3명이므로 3!이다.  

 

조합(combination)

조합은 순열과 달리 순서를 고려하지 않으며, 서로 다른 n개 중에 r개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를 의미한다.

nCr=(nr)=n!(nr)!r!

cf) nCr=nCnr(nr)=(nnr)

(nnr)=n!(n(nr))!(nr)!=n!r!(nr)!=(nr)

예를 들어, 순열에서는 '철수 - 영희 - 민석'과 '철수 - 민석 - 영희'는 다른 경우로 취급하지만, 조합에서는 같은 경우로 취급한다. 

예를 들어 3개의 재료 중 순서를 고려하지 않고, 2개의 재료를 뽑는 경우의 수는 (32)=3!(32)!2!

 

이항정리(Binomial Theorem)

자연수 n에 대하여 다항식 x+y)n을 전개하면

(x+y)n=nC0xn+nC1xn1y+nC2xn2y2++nCrxnryr++nCnyn=ni=0(ni)xniyi이다. 이렇게 다항식 (x+y)n을 전개하는 것을 이항정리라고 한다. 

그리고 ni=0(ni)xniyi에서 (ni),i=0,1,2,,n을 이항 계수(binomial coefficient)라고 한다. 이항 계수는 이항식을 이항정리로 전개했을 때, 각 항의 계수이며 주어진 것에 대한 순서를 고려하지 않은 조합의 가짓수이다.

예를 들어 (x+y)3을 전개하면, (x+y)3=(30)x0y3+(31)x1y2+(32)x2y1+(33)x3y0=x3+3xy2+3x2y+y3이다.

이때, 예를 들어 x2y항은 세 개의 인수 (x+y) 중 어느 한 인수에서 y를 택하고, 나머지 두 인수에서 각각 x를 택하여 곱한 단항식 yxx,xyx,xxy의 합이다. 

즉, x2y의 계수는 세 개의 인수 (x+y) 중 한 개에서 y를 택하는 조합의 수와 같으므로 (31)=3이다.

이 예에서 각 항의 이항 계수는 1 3 3 1이다.

위의 (x+y)n의 전개식에서 xnryr항은 n개의 인수 (x+y) 중에서 r개의 인수에서 y를 택하고, 나머지 (nr)개의 인수에서 x를 택하여 곱한 것이다.

그러므로 xnryr의 계수는 n개의 인수 (x+y) r개의 인수에서 y를 택하는 조합의 수와 같다. 즉, nCr와 같다.

이항 계수의 값을 삼각형 모양으로 나열한 것을 파스칼의 삼각형이라고 한다.

파스칼의 삼각형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D%95%AD_%EA%B3%84%EC%88%98

위의 (x+y)3의 예에서 각 항의 이항 계수는 1 3 3 1이다.

파스칼의 삼각형을 보면, (x+y)4의 경우 각 항의 이항 계수는 1 4 6 4 1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항 계수(multinomial coefficient)

다항 계수는 이항 계수의 개념을 확장한 것으로,

다항 계수는 총 n개의 구별 가능한 item이 있고, 이 n개의 구별 가능한 item을 r개의 구별 가능한 그룹 n1,n2,,nr으로 나눈다면, 나눌 수 있는 방법의 가짓수이다.

n=n1+n2++nr일 때, 다항 계수 (nn1,n2,,nr)은 다음과 같다. 

(nn1,n2,,nr)=n!n1!n2!nr!

--이와 같은 공식은 (nn1)(nn1n2)(nn1n2n3)(nn1nr1nr)n!n1!(nn1)!(nn1)!n2!(nn1n2)!(nn1nr1)!(nr)!nr!n!n1!n2!nr!=(nn1,n2,,nr)
예를 들어, 10명에게 과자 2개, 빵 3개, 음료수 3개, 사탕 2개를 나눠줄 때

- 10명 중 2명에게 과자 2개를 주면, 남은 8명에게는 빵 3개, 음료수 3개, 사탕 2개를 나눠줘야 한다.

- 8명 중 3명에게 빵 3개를 주면, 남은 5명에게는 음료수 3개, 사탕 2개를 나눠줘야 한다.

- 5명 중 3명에게 음료수 3개를 주면, 남은 2명에게는 사탕 2개를 나눠줘야 한다.

- 2명 중 2명에게 사탕 2개를 나눠주면 끝이 난다.

- 이 과정을 다항 계수를 이용하여 계산하면, (102,3,3,2)=10!2!3!3!2!

1. 표본공간과 사상

■ '동일한 조건'에서 '독립적'으로 반복할 수 있는 실험이나 관측을 확률 실험(random experiment) 또는 시행(trial)이라 하며, 확률 실험(<=> 시행)에서 나올 수 있는 결과는 바뀔 수 있지만, 각 결과가 나올 가능성, 확률은 같아야 한다.

- 예를 들어 주사위 던지기, 동전 던지기 등이 있다. 주사위를 던졌을 때, 동전을 던졌을 때 눈금 1 ~ 6, 앞면 혹은 뒷면이 나오는 결과는 바뀔 수 있지만, 주사위 눈금 1이 나올 확률, 6이 나올 확률, ..., 앞면이 나올 확률, 뒷면이 나올 확률은 항상 동일하다.

■ 이렇게 확률 실험을 하여 나타낼 수 있는 가능한 모든 관측 결과의 집합을 표본공간(sample sapce)이라 하며 기호 S로 표기한다.

■ 그리고 표본공간의 요소, 즉 확률 실험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각각의 결과들을 근원사상(elementary event) 또는 원소(element)라고 하며, 표본공간은 모든 근원사상의 집합이다.

■ 여기서 event사건 혹은 사상이라 하며 '내가 관심 있는 확률 실험의 결과이다.' 그리고 event는 표본공간의 부분집합이라 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event 1이 1이 나오는 사건, event 2가 2가 나오는 사건이라 했을 때, 더 단순한 event로 나눌 수 없다면, 그 event를 근원사상(elementary event)이라 한다.

■ 예를 들어 주사위 던지기 실험에서의 표본공간은 S = {1, 2, 3, 4, 5, 6}이다.

이때 event는 특정한, 즉 내가 관심 있는 결과들의 집합이므로 event 1을 홀수, event 2를 짝수라 했을 때 event 1 = {1, 3, 5}, event 2 = {2, 4, 6}이라 할 수 있다. S와 event 1, event 2를 보면 event가 표본공간의 부분집합임을 알 수 있다.

■ 표본공간 S의 사상 A에 대한 여사상(=여사건, complementary event) $ A^c$는 S를 구성하는 원소 중에서 사상 A에 포함되는 원소를 제외한 나머지 원소들의 집합이다. 

  주사위 던지기의 표본 공간 S = {1, 2, 3, 4, 5, 6} 에서 사상 A가 홀수가 나오는 사건이면 A에 포함된 원소 {1, 3, 5}를 제외한 {2 ,4, 6}이 사건 A에 대한 여사상이다.

■ 표본공간 S의 부분집합으로 사상 A, B가 있을 때 A, B가 동시에 발생하는 사상을 A와 B의 교사상, 사상 A 또는 B가 발생하는 사상을 A와 B의 합사상이라 한다.

■ 표본공간, event(사상, 사건) 등은 집합으로 정의되기 때문에 합집합(A u B), 교집합(A n B), 여집합 Ac연산을 할 수 있다. 

만약 사상 A와 B의 공통 원소가 없다면 A와 B는 상호 배반(mutually exclusive)이라 한다. 즉 A n B = ∅인 경우이며, A와 B의 교사상이 공사상(공집합)인 상태이다.

 

cf) 분배 법칙

$ A n (B u C) = (A n B) u (A n C), A u (B n C)  = (A u B) n (A u C)$

 

cf) 드모르간 법칙

$ (A u B)^c = A^c n B^c, (A n B)^c = A^c u B^c$

 

2. 확률 정의

■ 확률은 어떤 행위를 n 번 시행했을 때의 발생 빈도( f/n )이다.

이때 무수히 많은 n 번의 시행을 하면 f/n 값이 참값으로 수렴한다고 할 수 있는데, 이를 대수의 법칙(Law of large numbers)이라고 한다. 

■ 표본공간 S에 사상 A가 존재할 때, 표본공간 S는 확률 실험의 모든 결과이므로 P(S) = 1이며, 발생할 수 없는 사상의 확률은 0이다. 따라서 사상 A는 표본공간 S의 부분집합이므로, 사상 A가 발생할 확률을 P(A)라 했을 때, 0 ≤ P(A) ≤ 1이 성립한다.

 

3. 확률의 공리(Axioms of Probability)

■ 공리(axiom)는 가장 기초적인 근거가 되는 명제이다. 자명한 진리로 간주되어 증명할 필요가 없다. 

- 예를 들어 a+c=b+c이면 a=b같은 것

■ 확률의 공리 3가지는 다음과 같다.

- 공리 ① 0P(A)1

- 어떤 사건에 대한 확률은 0과 1사이이다.

- 즉, 확률 값은 음수가 될 수 없고 1을 초과할 수도 없다.

- 공리 ② P(S)=1

- 표본공간의 확률은 1이다.(표본공간에 있는 모든 원소들의 확률을 더하면 1이다.) 

- 공리 ③ 만약, 사건 A1,A2,들이 모든 ij에 대해서 AiAj=일 때(상호 배반일 때), P(i=1Ai)=i=1P(Ai)

- 표본공간에 있는 각각의 사건들이 모두 상호 배반일 때, 모든 사건들의 합집합에 대한 확률은 각 이벤트들의 확률의 합과 같다.

-- ex) AB=일 때, P(AUB)=P(A)+P(B)

- 모든 사건이 상호 배반일 때, 적어도 1개의 사건이 발생할 확률은 모든 사건들의 확률의 합으로 구할 수 있다.

 

4. 확률의 연산

■ 어떤 사상의 확률을 다른 사상들의 확률로부터 구할 때, 기본 원칙은 겹치지 않는 영역의 확률을 구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합사상 A u B의 확률, P(A u B)는 P(A u B) = P(A) + P(B) - P(A n B)로 정의되는데, 이는 A의 확률과 B의 확률에서 겹치는 영역의 확률인 P(A n B)를 P(A) + P(B)에서 빼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P(A u B u C)도 A와 B, A와 C, B와 C가 겹치는 영역의 확률을 제해야 한다.

단 A와 B와 C가 겹치는 영역의 확률 P(A n B n C)를 더해줘야 한다. 그 이유는 예를 들어

에서 P(A) + P(B) + P(C) - P(A n B) - P(A n C) - P(B n C)를 하면 A의 원소이며, B의 원소이자 C의 원소이기도 한 12, 13이 제외되기 때문이다.

### P(A u B u C)에서 P(A n B n C)를 더하는 이유를 보여주기 위함

A = [1, 2, 3, 10, 11, 12, 13]
B = [4, 5, 6, 12, 13, 14, 15]
C = [7, 8, 9, 10, 11, 12, 13, 14, 15]
combined_A_B_C = A + B + C # P(A) + P(B) + P(C)의 원소에 해당

# P(A n B), P(A n C), P(B n C)의 원소에 해당
intersection_AB = [x for x in A if x in B]
intersection_AC = [x for x in A if x in C]
intersection_BC = [x for x in B if x in C]

print(combined_A_B_C)
print(intersection_AB, intersection_AC, intersection_BC)
```#결과#```
[1, 2, 3, 10, 11, 12, 13, 4, 5, 6, 12, 13, 14, 15, 7, 8, 9, 10, 11, 12, 13, 14, 15]
[12, 13] [10, 11, 12, 13] [12, 13, 14, 15]
````````````

intersection = intersection_AB + intersection_AC + intersection_BC

# P(A) + P(B) + P(C) - P(A n B) - P(A n C) - P(B n C)의 원소에 해당
for i in intersection:
    combined_A_B_C.remove(i)
    print(i)
print(combined_A_B_C)
```#결과#```
[1, 2, 3, 4, 5, 6, 7, 8, 9, 10, 11, 14, 15]
````````````

따라서 P(A u B u C)  = P(A) + P(B) + P(C) - P(A n B) - P(A n C) - P(B n C) + P(A n B n C)가 된다.

 

■ 사상 A와 B가 상호 배반이면 P(A n B) = 0이므로 P(A u B) = P(A) + P(B)가 된다. 이를 일반화하면,

사건(사상) A1,A2,A3,...가 서로 상호 배반일 때, P(A1A2A3)=P(A1)+P(A2)+P(A3)+ ( 단, AiAj=,ij))으로 나타낼 수 있다.

■ 그리고 사상 A와 여사상 Ac는 상호 배반이다. 따라서 P(AAc)=P(A)+P(Ac)=1이 성립하므로 P(Ac)=1P(A)가 된다.

- 이와 유사하게 사상 BA,BAc)는 상호 배반이고, B=(BA)(BAc)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P(B)=P(BA)+P(BAc)이 성립한다.

- 이외에도 P(AcBc)=1P(AB),P(AcBc)=1P(AB)가 성립한다.

- 드모르간 법칙에 의해AcBc=(AB)c,AcBc=(AB)c이다.

여사건의 확률 P(Ac)=1P(A)에 의해 P(AcBc)=P((AB)c)=1P(AB),P(AcBc)=P((AB)c)=1p(AB)가 성립한다.

 

5. 확률의 기본 성질

■ 정리하면, 확률의 기본 성질은 다음과 같다.

- ① P(Ac)=1P(A)

- ② 만약, AB이라면, P(A)P(B)이다.

- AB에 속한다는 것을, 전체 표본공간 S안에 B가 있고, B안에 A가 있다고 생각해보자.( 정확하게는 ABAc의 합집합이 B가 된다. B=A(BAc)

- 즉, B=A+(BAc)으로 BA(BAc)로 나눌 수 있다.

- P(B)=P(A)+P(BAc)에서 사건 A와 사건 BAc는 공통 원소가 없으므로 확률을 단순히 더할 수 있다. (공리 ③)

- 확률은 음수가 될 수 없으므로 P(BAc)0이다. 그러므로 위의 식에서 P(A)P(B)가 된다.

- 예를 들어, 표본공간 S=1,2,3,4,5,6에서 사건 AA={2}, 사건 BB={2,4,6}이라고 한다면, A={2}B={2,4,6}이며, P(A)=1/6,P(B)=1/2

- ③ P(AB)=P(A)+P(B)P(AB)

- ③을 포함배제의 원리라고 부른다. 포함배제의 원리는 두 개 이상의 합집합을 구할 때 중복된 부분은 제외해야 한다는 개념이다.

 

6. 조건부 확률

■ 어떤 사건(사상)이 발생했다는 전제하에 다른 사건(사상)이 발생할 확률을 조건부 확률(conditional probability)이라고 한다.

■ 사건 B가 발생했다는 조건이 주어졌을 때 사건 A의 조건부 확률은 다음과 같다.

P(AB)=P(AB)P(B)단, (P(B)>0)

- 이때 조건이 되는 사건 B는 축소된 표본공간 역할을 하게 된다. 우리가 이미 어떤 사건 B가 발생했음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즉, 원래의 표본공간에서 B라는 사건이 발생한 경우만 고려하므로, 전체 표본공간이 B로 축소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P(AB)는 새로운 표본공간인 사건 B에서 사건 A n B, 두 사상 A와 B가 동시에 발생할 확률을 의미한다.

■ 만약, 사건 A와 사건 B가 상호 배반이라면 P(AB)=0이므로, 조건부 확률 P(AB)=P(AB)P(B)=0P(B)=0이 된다.

■ 그리고 사건 A와 사건 B의 관계가 BA라면, AB=B가 된다. 즉 P(AB)=P(B). 그러므로, 조건부 확률 P(AB)=P(AB)P(B)=P(B)P(B)=1이 된다.

 

7. 확률의 곱의 법칙(Multiplicative Rules)

두 사건의 교집합의 확률은 P(AB)=P(AB)P(B)=P(BA)P(A)단, (P(A)>0,P(B)>0)

- 3개의 사건으로 확장하면 P(ABC)=P((AB)C)=P(AB)P(CAB)=P(A)P(BA)P(CAB)가 된다. (*조건부 확률 정의를 이용하면 P(AB)=P(A)P(BA))

- 따라서 n개의 사건이면

P(A1A2A3...An)=P(A1)P(A2A1)P(A3A1A2)....P(AnA1A2....An1)이 성립한다.

 

8. 독립 사건(사상)

■ 사건 A, B에 대하여 사건 B가 발생했다는 사실이 사건 A가 발생할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 즉 사건 B가 사건 A의 확률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면 P(AB)=P(A)가 된다.

■ 조건부 확률 정의에 의해 P(AB)=P(AB)P(B)=P(A)이므로 P(AB)=P(A)P(B)가 된다.

또한 P(BA)=P(AB)P(A)=P(A)P(B)P(A)=P(B)가 된다. 

즉, 사건 B가 사건 A의 확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 사건 A도 사건 B의 확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다.

이런 상태를 '두 사건 A와 B가 서로 독립(independent)이다.'라고 한다.

따라서 P(AB)=P(A)P(B)단, (P(A)>0,P(B)>0)가 성립하면 두 사건 A와 B는 서로 독립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 만약 사건이 A1,A2,...,An로 사건이 n개 있을 때,  A1,A2,...,An이 서로 독립이면,

P(A1A2An)=P(A1)P(A2)P(An)이 성립한다.

- 그리고 반대 개념으로 두 사건 A와 B가 서로 독립이 아닌 경우, 즉, 한 사건이 다른 사건에 영향을 준다면

P(AB)P(A)P(B)  '두 사건 A와 B는 서로 종속(dependent)이다.'라고 한다.

■ 사건이 서로 독립적인 예로는, A와 B가 서로 독립이면 ABc, AcB, AcBc도 서로 독립이다.

■ 이번에는 사건 3개 A,B,C가 독립인 경우이다. 사건 A,B,C가 독립이면, 사건 ABC와도 독립이다.

P(A(BC))=P((AB)(AC))=P(AB)+P(AC)P(ABC)=P(A)P(B)+P(A)P(C)P(A)P(BC)=P(A)[P(B)+P(C)P(BC)]=P(A)P(BC)

 

9. 베이즈 정리(Bayes' theorem)

■ 베이즈 정리는 조건부 확률을 직접 계산하기 어려운 경우, 조건이 되는 사건을 상호 배반 사건들로 분할(partition)하여 조건부 확률을 계산하기 위한 공식이다.

■ 베이즈 정리를 알기 위해선 먼저 '분할(partition)'과 이 개념을 기반으로 하는 전확률 정리에 대해 알아야 한다.

■ 먼저 k개의 집합 B1,B2,...,Bk가 어떤 표본공간 S의 분할이 되려면

1) B1,B2,...,Bk는 각각 서로소여야 한다. B1,B2,...,Bk는 집합이므로, 집합이 서로소가 되야 한다는 것이며, 이는 B를 무작위로 선택했을 때 겹치는 부분이 없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2) B1,B2,...,Bk를 합집합했을 때, 합집합 연산의 결과는 표본공간 S가 되야 한다.

이 두 조건을 만족했을 때 B1,B2,...,Bk를 S의 분할이라고 한다.

-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B1,B2,B3는 각각 겹치는 부분이 없으며, B1,B2,B3를 합집합하면 S가 된다. 

따라서 B1,B2,B3는 S의 분할이라고 할 수 있다.

■ 다음으로 전확률 정리란, 표본공간 S를 상호 배반인 사건 B1,B2,...,Bk, ( BiBj=,ij,B1B2...Bk=S )로 분할했을 때, 임의의 사건 A에 대해 P(A)=ki=1P(BiA)=ki=1P(ABi)P(Bi)=P(AB1)P(B1)+P(AB2)P(B2)++P(ABk)P(Bk)가 성립함을 말한다.

- 위의 식이 성립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A=AS=A(B1B2Bk)=(AB1)(AB2)(ABk)이다. 이 식이 성립하는 이유는 사건 B1,B2,...,Bk가 서로 겹치지 않기 때문에 사건 A의 확률을 사건 AB1,AB2,,ABk의 확률의 합으로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그림으로 표현하자면 다음 그림과 같은 상황인 것이다.

따라서 P(A)=P(AB1)+P(AB2)++P(ABk)=ki=1P(ABi)가 되며, 곱의 법칙에 의해서 P(ABi)=P(ABi)P(Bi)가 성립한다.

■ 베이즈 정리는 어떤 사건 A가 관측되기 이전의 확률(사전 확률, P(Br))로부터 사건 A가 관측된 후의 조건부 확률(사후 확률, P(BrA))을 구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의 식이 성립한다.

표본공간 S를 공사상이 아닌(<=>P(Bi)0,i=1,2,...,k), 상호 배반인 사건 B1,B2,...,Bk들로 분할하면 공사상이 아닌(<=> P(A)0), 임의의 사건 A에 대하여

P(BrA)=P(BrA)P(A)=P(BrA)ki=1P(BiA)=P(ABr)P(Br)ki=1P(ABi)P(Bi)이 성립한다.

■ 베이즈 정리는 예를 들어 불량 제품이 나왔을 때, 이 불량 제품이 생산 라인 A에서 생산되었을 확률을 구하는 문제에 적용할 수 있다.

생산 라인 A B C D
생산 비율 20% 40% 30% 10%
불량률 4% 2% 1% 5%

불량률이 나온 사건을 F라 하면, P(F)=P(FA)P(A)+P(FB)P(B)+P(FC)P(C)+P(FD)P(D)=0.008+0.008+0.003+0.005=0.024이므로 각 생산 라인에서 불량 제품이 생산되었을 확률은 P(AF)=0.20.040.0.24=0.33...,P(BF)=0.40.020.0.24=0.33...,P(CF)=0.30.010.0.24=0.125,P(DF)=0.10.050.0.24=0.208333...

이때, 사건 F일 때 사건 A일 확률이므로 P(A)=0.2는 사전(prior)확률이며, P(A \mid F) ≒ 0.33 이 사후(posterior) 확률이 되는 것이다.

 

10. Odds

■ 오즈(또는 아즈)는 사건 A 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 대비 발생할 확률. 즉, \dfrac{P(A)}{P(A^c)} = \dfrac{P(A)}{1-P(A)} 를 의미한다. 

- 만약, 사건 A 의 성공 확률이 1이라면, \dfrac{P(A)}{1-P(A)} = \dfrac{1}{0} 이므로 Odds는 \infty 의 값을 갖게 된다.

- 사건 A 의 성공 확률이 0이라면, \dfrac{P(A)}{1-P(A)} = \dfrac{0}{1} 이므로 Odds는 0의 값을 갖게 된다.

- 예를 들어 \dfrac{P(A)}{1-P(A)} = \dfrac{1}{4} 라면, P(A) = 1 / 5 임을 알 수 있다.

'확률' 카테고리의 다른 글